이번호에서는 각 학년 학점취득 및 NCEA 성적표 보는 방법 대해 설명 하도록 하겠다.
1. 단계별 NCEA 학점취득
NCEA 는 과목별 성취 정도를 과목 전체로 단일화 해서 평가하는 것이 아니다. 각 과목
은 4~9 가지의 세분화된 항목별로 나누어지며, 각 세분화된 항목별로 학점을 갖고 있다.
이 세분화된 항목별로 학생들이 학업성취도에 따라 학점(credit)을 받으면 이 학점들이
모아져서 Level 별 이수학점을 얻는 것이다. 우리나라 대학의 학점제도와 비슷하다고
생각하면 쉽게 이해가 된다.
1) Level 1(Form 5 학생들)
① 학생들의 선택에 따라 5~6 개 과목 선정.
② 각 과목은 대략 21~ 24 학점까지 받을 수 있다. (ESOL 제외)
③ 받을 수 있는 최고 학점은 120 점 이며 이중 80 점 이상을 취득하면 Level1 을 이
수했다고 인정된다.
④ Level1 의 경우에는 80 학점(credit)중에 수학에서 최소 14 학점, 그리고 읽기, 쓰
기, 분야에서 8 학점이상을 취득해야 한다. 이는 학생들의 기본적인 읽기, 쓰기
수리능력이 반드시 일정 수준에 있어야 함을 의미하는 것이다.
2) Level 2 / Level 3(Form 6/7 학생들)
위의 ①,②,③ 항목과 동일. 단, Level2 에서는 Level2 이상의 영어 또는 마오리 언어에
서 최소 학점 이상을 취득해야 하며 반드시 읽기와 쓰기에서 각각 4 학점 이상을 취득해
야 한다. 그럼, 각 학년에 맞게 Level 을 공부해야 하는가? 아니, 그렇지 않다. Level 2 도
Level 1 에서 Credit 을 받을 수 있으며, Level 2 에서도 Level 3 에서 Credit 을 받을 수
있다. 선행, 후행 학습이 가능하단 얘기다. 허나 레벨 2,3 를 이수하기 위해서도 각각 80
학점이상을 취득 해야 하지만, 이중 60 학점이상을 각 해당 레벨에서 반드시 취득해야
한다.
* Level2 학점이수 |
*Level3 학점이수 |
Level 1 Credit 0 ~ 20 |
Level 2 Credit 0 ~ 20 |
Level 2 or 3 credits 60 ~ 80 |
Level 3 or above credits 60 ~ 80 |
2. 과목별 성적은 어떻게 평가되는가?
각 과목은 5-9 개의 세부 평가 항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, 이 세부 항목들은 각각 미 이
수(Not Achieved), 이수(Achieved), 우수(Merit), 최우수(Excellence) 4 단계로 표시된다.
각 과목별 세부 평가 항목에서 이수(Achieved) 이상을 받으면 그 항목에 지정되어있는
학점을 받을 수 있는 것이다. 이 세부 항목 별 학점들이 합하여져서 그 교과목의 학점이
되는 것이며 세부 별 성적이 나오므로 학생이 그 과목의 어느 세부 항목에 적성이 있는지
혹은 부족한지를 알 수 있다. (그림 서식 참고: 64 점으로 환산된 점수는 100 점 만점으
로 환산 했을 경우 알렉스가 받은 영어 점수입니다)
하지만, 각 대학마다 자체 내 평가 기준을 따로 두고 있어 학생들은 학점이수를 목표로
하되, Achievement 보다는 Merit 로, Merit 보다는 Excellence 로 학점을 받으면 본인
에게 유리한 전형자료가 될것이다.
(ECN 방과후 Tutoring course 담당: 최미란, Nicola)